본문 바로가기
축제 같은 하루/충청도

[부여 문화유산야행] 충청 가볼만한곳, 봄축제추천, 야간축제, 부여가볼만한곳, 정림사지오층석탑

by lena's festival 2024. 4. 3.

당신에게 재미를 부여한다.

'2024 부여문화유산야행'

'2024.4.13~14'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하루를 축제로 만들어드리는 래나입니다.

오늘은 [2024 부여문화유산야행]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행사 소개

🌟2024 부여 문화유산 야행: 백제의 밤이 열리다!🌟

여러분, 고대 백제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부여에서 한밤의 시간여행을 떠날 준비가 되셨나요?

이번 2024년, 부여 문화유산 야행이 여러분을 백제시대로 초대합니다.

보물로 지정된 부여외리 문양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번 행사는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를 빛내며 지역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의 장을 마련합니다.


🔥 사비 도깨비 불빛 아래 걷는 골목, 꿈결 같은 산수화길을 거닐며, 봉황이 꾸는 꿈을 꿀 준비되셨나요?

  1. 야경과 야로를 시작으로 백제의 밤은 신비로움으로 가득 찹니다. 도깨비불이 이끄는 골목길, 백제 예인들의 퍼포먼스가 펼쳐지는 산수화길을 거닐며 고대의 정취를 만끽해 보세요.
  2. 야설의 무대에서는 사비 백제의 다채로운 공연이 여러분의 밤을 황홀하게 채웁니다. 봉황문 버스킹부터 부여군 충남국악단의 공연까지, 백제의 밤은 예술로 빛납니다.
  3. 야사와 야화를 통해, 보은 도깨비의 이야기부터 백제 장인들의 솜씨를 감상하는 특별한 전시회까지, 백제의 이야기와 문화를 한껏 느낄 수 있습니다. 백제의 역사와 예술이 한데 어우러지는 시간을 선사합니다.
  4. 야시와 야식에서는 사비 프리마켓의 다채로움과 굿뜨래 특산물로 채워진 로컬푸드장터에서 백제의 맛을 경험해 보세요. 사비 도깨비 시장과 산사 먹거리 장터에서는 밤새도록 즐길 거리, 먹을거리가 가득합니다.
  5. 마지막으로 야숙에서는 용이 깃든 백제에서의 하룻밤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반룡사비스테이와 반룡캠프에서 고대 백제의 정취 속에서 평온한 밤을 보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경험이 하룻밤에? 믿기 어렵다면, 직접 그 마법 같은 밤을 경험해 보세요. 고대 백제의 숨결을 느끼며, 잊을 수 없는 추억을 만들 준비가 되셨나요? 2024 부여 문화유산 야행에서 여러분의 밤이 빛나기를 기다립니다! 


 

2. 세부 프로그램

1. 야경, 사비귀형문(사비귀형문(사비 도깨비불))

1) 사비 도깨비불 골목길

2) 사비 8문양전

3) 사비 거리 등불

 

2. 야로, 사비 산경문(사비 산수화길)

1) 백제예인퍼포먼스

2) 오악사 이야기

3) 백제외리 문양전 퍼즐 투어

 

3. 야설, 사비 봉황문(사비 봉황의 꿈이 펼쳐지는 공연)

1) 사비 백제 8색 공연

2) 봉황문 버스킹

3) 무형 문화유산공연

4) 부여군 충남국악단공연

5) 사비 작은 별 버스킹

6) 사비로운 거리예술

 

4. 야사, 사비 와운문(사비 구름 따라 흐르는 백제이야기)

1) 보은 도깨비의 ”풍문으로 들었소 “

2) 백제야(夜) 놀자

3) 구름 따라 흐르는 백제 동화 이야기

4) 사비 역사 인문학 토크쇼

5) 오층석탑소원탑돌이

6) 선비의 풍류를 따라 걷는 밤

7) 보부상 이야기

8) 사비일관부

9) 팔문양 곳간

10) 사비도성을 지켜라!

11) 사비 보물상자

12) 블록으로 만드는 백제역사유적지구

13) 사비에서 노는 하루

 

5. 야화, 사비 연화문(사비 한 폭의 연꽃이 선물하는 백제 그림)

1) 거리의 백제화공

2) 김영학조각전시전

3) 유홍준유물전시전

4) 사비장인의 특별선물

5) 아스카 사진전

6) 백제명품, 문양전

 

6. 야시, 사비 귀항산 산경문(사비( 도깨비 시장)

1) 사비 프리마켓

2) 사비 예술장터

3) 사비 리사이클

 

7. 야식, 사비 봉황산경문(사비 산사 먹거리 장터)

1) 사비 야시장

2) 굿뜨래특산물 로컬푸드장터

3) 무역왕국 백제먹거리

 

8. 야숙, 사비 반룡문(용을 품은 백제에서의 하룻밤)

1) 반룡사비스테이

2) 반룡캠프


📅행사시간표

📍4월 13일(토)

시간 공연마당 1 공연마당 2 공연마당 3 정림사지 오층석탑
18:00-18:30   한마음공연단 마술쇼  
18:30-19:00 오프닝퍼포먼스      
19:00-19:30   버블&벌룬쇼  
19:30-20:00   백제 음악 연구회    
20:00-20:30     마술쇼 소원답돌이
20:30-21:00 사비역사
인문학콘서트
     
21:00-21:30   버블&벌룬쇼  
21:30-22:00   기쁜 소리 공연단    
22:00-22:30       소원탑돌이

📍4월 14일(일)

시간 공연마당 1 공연마당 2 공연마당 3 정림사지 오층석탑
18:00-18:30 시민뮤지컬   마술쇼  
18:30-19:00   문화공감예술단    
19:00-19:30 한국전통대학교
풍물단 '울림'
  버블&벌룬쇼  
19:30-20:00   부여옛소리연구회    
20:00-20:30     마술쇼 소원탑돌이
20:30-21:00 백제기악 미마지      
21:00-21:30   버블&벌룬쇼  
21:30-22:00   소부리공연단    
22:00-22:30       소원탑돌이

3. 알아두면 좋을 것

🏙부여는 어떤 도시인가요?

부여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사비백제의 중심지입니다. 이 도시는 백제 문화의 정수를 간직한 역사적인 장소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를 포함하여 많은 문화유산과 유적지들이 있습니다. 부여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시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와 문화

  •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으며, 국립부여박물관, 부소산성, 정림사지, 낙화암 등 백제의 역사를 대표하는 유적들이 이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유적들은 백제의 예술, 건축, 종교의 발전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장소들입니다.
  • 국립부여박물관: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다양한 유물과 전시를 통해 백제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자연경관

  • 궁남지: 백제 시대부터 이어진 인공연못으로,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합니다. 봄에는 연꽃이 만개하여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 부여의 사계: 부여는 뚜렷한 사계절이 있어, 계절마다 다양한 자연경관과 축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가을에는 수확의 계절을 맞아 로컬 푸드와 농산물이 풍성해지며, 이 시기에 열리는 축제들은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먹거리

  • 부여의 로컬 푸드: 부여 지역의 농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로컬 푸드가 있습니다. 특히 백제 김치, 지역에서 재배된 고구마, 쌀 등을 이용한 전통 음식과 현대적인 요리가 어우러진 맛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백제는 어떤 나라였나요?

백제는 기원전 18년경에 건국되어 660년에 멸망할 때까지 약 700년간 존재했던 고대 국가입니다. 현재의 한국 중서부 지역, 특히 서울, 경기도 남부, 충청도, 전라도 일부를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역사적으로 여러 번 수도를 옮기며 발전했죠. 초기 수도는 위례성(현재의 서울 송파구)이었고, 나중에는 공주와 부여를 중심으로 한 사비시대가 있었습니다.

백제는 한반도에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를 이루며, 중국, 일본과도 활발히 교류했어요. 특히 문화와 예술, 기술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고, 그 영향은 일본에까지 미쳐 백제의 불교, 건축, 금속공예, 서예 등이 일본 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적 중요성

  • 문화교류: 백제는 중국, 일본과의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일본에 대한 백제의 영향은 불교 전파, 건축 기술, 문자 사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예술과 건축: 백제는 세련된 불상과 건축, 공예품으로 유명합니다. 국보인 백제금동대향로, 미륵사지 석탑 등이 그 예술성을 보여줍니다.
  • 정치와 사회 구조: 중앙 집권적 왕권 체제와 효율적인 행정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사회적 계층 구조가 명확했습니다.

✔유산

백제의 역사적 유산 중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공주와 부여 지역에 있는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백제의 문화와 역사를 오늘날에 전하며, 이 지역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고대 국가의 위대함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백제는 그 멸망 이후에도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체의 역사와 문화에 지울 수 없는 영향을 끼친 중요한 고대 국가였습니다.


 
4. 행사 장소 및 주차 안내
 
장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로 83 정림사지
문의 부여군, 문화재청, 충청남도/(재)백제역사문화연구원 041-837-1722